저출생 통계 누리집에서 모든 현황 확인하기!

Last Updated :

저출생 현황 분석 통계지표

통계청이 24일 저출생 현황을 종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저출생 통계지표를 공개하였습니다. 이 통계지표는 통계청의 지표누리 플랫폼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지난해에 이어 올해는 전문가로 구성된 지표자문위원회의 도움으로 더욱 완성도가 높아졌습니다. 특히 출산현황과 관련하여 결정요인 및 정책제도의 3대 영역으로 나누어 다각적인 분석이 가능하도록 개발되었습니다. 각 영역별로 적절한 지표를 선정하여 출산과의 인과관계를 파악하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출산현황과 결정요인 영역

저출생 통계지표는 출산현황, 결정요인, 정책제도의 3대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출산현황 영역에는 출산력, 혼인력, 모자보건 관련 18개 지표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들은 출생 및 혼인 규모와 비율을 포함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합니다. 결정요인 영역은 가족형성에 관한 가치관 및 양육 관련 24개 지표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가족형성에 대한 의견과 고용·소득, 주거 현황 등이 포함됩니다. 이러한 지표들은 저출생 문제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 출산현황: 출산력, 혼인력, 모자보건 관련 지표.
  • 결정요인: 가족형성 가치관, 양육돌봄 관련 지표.
  • 정책제도: 저출생 관련 정책 및 제도 지표.

정책제도 분석 및 주요 지표

정책제도 영역에서는 가족형성과 양육돌봄 관련 19개의 지표가 다루어지고 있습니다. 여기에는 저출생 정책 제도의 수요와 난임 시술 지원, 자녀 돌봄 수당 등이 포함됩니다. 이러한 지표들은 정부의 정책 방향을 결정하는 데 중요하며, 저출생 문제 해결을 위해 필요한 정책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됩니다. 또한, 각 부문 지표 간의 중요도를 고려하여 61개 지표 중에서 각 영역별 주요 지표 23개를 선정하여 대표 지표로 제시합니다.

저출생 통계지표의 의의

통계청 이형일 청장은 저출생 통계지표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경제·사회변화를 반영한 개발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러한 노력은 데이터 기반 인구 구조 대응 정책의 효과적인 추진을 돕기 위함입니다. 정부는 이를 통해 저출생 문제에 구체적 대응 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며, 통계지표의 신뢰성과 유용성을 더욱 강화할 것입니다.

주요 지표 개발 계획

유배우 출산율 자녀 1인당 양육비 육아휴직 소득 대체율
향후 추가 개발 예정 향후 추가 개발 예정 협의를 통해 개발 계획 수립

저출생 통계지표는 기존 통계를 활용하여 53개 지표로 구성되며, 이 중 5개 지표는 신규 개발되었습니다. 향후 유배우 출산율, 자녀 1인당 양육비, 육아휴직 소득대체율 등의 지표는 더욱 체계적으로 개발될 것입니다. 이 전략은 통계청의 정책 개발에 있어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입니다.

문의 및 연결 정보

저출생 통계지표에 대한 추가 정보나 문의는 통계청 사회통계국 사회통계기획과(042-481-1283) 및 통계서비스정책관 통계서비스기획과(042-481-2418)로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정보는 저출생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 추진에 필요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입니다.

정책뉴스 자료 이용 안내

정책브리핑의 정책 뉴스 자료는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의 조건 아래 자유롭게 이용 가능하며, 사진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기사를 인용할 때는 출처를 반드시 밝히며, 이를 위반할 경우 저작권법에 의거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주의 깊은 사용이 요구됩니다.

지속적인 통계 개발과 중요성

저출생 통계지표의 개발은 단순한 데이터 제공을 넘어 우리 사회의 미래를 형성하는 데 중대한 역할을 합니다. 통계청은 앞으로도 저출생과 관련된 데이터의 유용성을 높여 가면서 정책 대응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입니다. 이를 통해 인구 구조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지속 가능한 사회를 구축하는 데 기여하고자 합니다.

결론 및 기대 효과

저출생 문제는 단순히 통계 수치로 한정할 수 없는 복합적 사안입니다. 저출생 통계지표의 체계적인 분석과 개발은 저출생 문제 해결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정부 및 사회의 인식 개선에 기여할 것입니다. 앞으로도 통계청의 이러한 노력이 우리 사회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길 기대합니다. 이를 통해 건강하고 풍요로운 사회로 나아가는 데 필요한 정책 방향이 제시될 것입니다.

저출생 통계 누리집에서 모든 현황 확인하기!
저출생 통계 누리집에서 모든 현황 확인하기! | flaretime.com : https://flaretime.com/12752
flaretime.com © flaretime.com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modoo.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