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일본대사관 앞 400여명 사죄 요구 시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일에 대한 연대와 행동
이번 8월 14일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일로, 이 날을 맞아 여러 시민단체가 함께 정의로운 연대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국내외 시민단체들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권리 회복을 위한 집회를 개최하여 그들의 목소리를 전달하고 있습니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인권과 역사적 정의를 요구하는 중요한 사안으로, 이를 기억하고 기리기 위한 이 날의 의미는 매우 큽니다.
조직된 제12차 세계연대집회와 1천661차 정기 수요시위는 서울 종로구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서 진행되었으며, 이런 연대는 국제 사회에서 일본 정부에 대한 책임을 물을 수 있는 중요한 장이 되고 있습니다. 수십 개의 시민단체와 개인들이 모여 이들이 처한 고난의 역사를 기억하고 그들의 권리가 회복될 수 있도록 힘을 모으고 있습니다.
시민의 목소리와 공동의 행동
이번 집회는 정의기억연대와 145개 시민단체가 조직하여 이루어졌으며, 어려운 여건에도 불구하고 400여명의 참가자가 모여 그들의 힘을 보여주었습니다. 참가자들은 "공식사죄 법적배상"이라는 팻말을 들고 구호를 외치며 일본 정부에 대한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했습니다. 이는 단순한 집회를 넘어 피해 생존자들의 명예와 권리를 회복하기 위한 연대의 상징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나영 정의연 이사장도 기자 회견에서 "혐오와 차별이 난무하는 상황에서 어떠한 어려움에도 일본 정부의 범죄 인정과 피해자 사죄를 요구할 것"이라고 강조하며 연대의 가치를 다시 한번 확인하였습니다. 또한, 조국혁신당과 진보당의 참여도 집회의 의미를 더욱 확고히 하였고, 정치적인 지지를 받는다는 것이 피해자들에게 큰 힘이 됩니다.
기림일의 역사적 맥락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일은 2017년 문재인 정부에서 공식적으로 지정된 날로, 고 김학순 할머니의 증언을 기념하기 위한 것입니다. 김학순 할머니는 1991년 처음으로 일본군 '위안부' 피해 사실을 공개적으로 증언하여, 이후 많은 피해자들이 용기를 내어 밝혀졌습니다. 이렇게 역사적 사실을 잊지 않기 위해 매년 기림일을 맞아 다양한 행사들이 열리고 있습니다.
최광기 정의연 이사는 "김학순의 용기는 침묵하던 생존자들을 깨우고, 이 주제가 국제적으로 조명받을 수 있는 계기를 만들었다"고 언급하며 그 용기가 현재 우리를 둘러싼 반인권적 상황에서 더욱 소중하게 여겨진다고 전했습니다. 이렇듯 기림일은 단순한 날이 아니라,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해결과 인권 회복을 위한 연대의 상징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예술과 문화로의 확장
이번 기림일을 맞이해 단체들은 전시, 문화제 등 다양한 행사를 통해 시민에게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자 했습니다. 10일부터 진행된 이 행사들은 시민들이 자연스럽게 문제에 대해 배우고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오후 3시부터는 특별 전시와 시민 참여 부스가 운영되며, 이는 많은 사람들에게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감수성을 키울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습니다.
민간 차원에서 이러한 문화체험은 사회적 연대를 강화하고 문제 해결에 대한 의지를 더욱 확고히 만드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문화와 예술을 통해 연대를 지속하고, 피해자들의 목소리를 잊지 않도록 하는 활동이 더욱 필요합니다.
앞으로의 활동 방향
시민단체들은 앞으로도 이러한 활동을 이어가며 피해자들의 인권 회복과 명예 회복을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일본 정부가 피해자들에게 공식적인 사과와 법적 배상을 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국제적인 연대를 강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피해자들이 느끼는 고통을 이해하고 그들의 목소리를 더 널리 알리는 것이 필요합니다.
정의기억연대는 향후에도 캠페인과 집회를 계속하여, 관련 정보를 지속적으로 공유하고 시민의 참여를 유도하며, 고통 받는 이들의 이야기를 잊지 않도록 할 것입니다. 또한 정치·사회적으로도 피해자와 그 권리를 위한 발언과 행동에 더욱 결집할 것입니다.
결국,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단순한 개인의 고통이 아니라, 사회 전반에 걸쳐 해결해야 할 역사적 과제임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실시간 뉴스 속보는, https://newsdao.kr